맨위로가기

야코프 베르누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프 베르누이는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다. 신학을 공부했으나 수학과 천문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유럽 여행을 통해 당대 과학자들과 교류하며 지식을 습득했다. 바젤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수학 교수로 재직하며 동생 요한 베르누이와 함께 미적분학을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는 사후 출판된 《확률론》이 있으며, 이 책은 확률 이론의 중요한 저술로 조합론, 베르누이 수, 큰 수의 법칙 등을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누이가 - 요한 베르누이
    요한 베르누이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미적분학, 특히 미분 방정식과 변분법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사슬선의 방정식 발견과 지수 함수의 미적분법 확립 등으로 유명하지만, 가족과의 갈등과 업적 가로채기 시도는 그의 명성에 오점을 남겼다.
  • 베르누이가 - 다니엘 베르누이
    다니엘 베르누이는 스위스 출신의 수학자, 물리학자, 의사로 유체역학, 특히 베르누이 원리로 유명하며, 유체 운동 이론 제시, 기대효용 이론 연구, 천연두 예방 접종 효과 분석 등 다양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17세기 스위스 사람 - 요한 베르누이
    요한 베르누이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미적분학, 특히 미분 방정식과 변분법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사슬선의 방정식 발견과 지수 함수의 미적분법 확립 등으로 유명하지만, 가족과의 갈등과 업적 가로채기 시도는 그의 명성에 오점을 남겼다.
  • 17세기 스위스 사람 - 요스트 뷔르기
    요스트 뷔르기는 정밀 시계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천문 관측 기기를 제작하고 로그를 독자적으로 발명했으며, 시계 정확도 향상과 천문학, 수학 발전에 기여한 스위스의 시계 제작자이자 천문학자, 수학자이다.
  • 18세기 종말론자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은 영국의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연금술사, 신학자로 고전 역학의 기초를 세운 만유인력의 법칙과 뉴턴 운동 법칙을 발견했으며, 미적분학 개발, 반사 망원경 발명 등 수학과 광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긴 과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8세기 종말론자 - 존 웨슬리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순회 설교와 속회 조직, 평신도 설교자 임명을 통해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키고,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옹호하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에 힘썼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여러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야코프 베르누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야코프 베르누이
출생일1655년 1월 6일
출생지바젤, 스위스
사망일1705년 8월 16일
사망지바젤, 스위스
분야수학, 역학
직장바젤 대학교
학력바젤 대학교 (신학 박사, 1676년; 철학 박사 학위 취득 자격, 1684년)
박사 학위 논문 제목Primi et Secundi Adami Collatio (제1 및 제2 아담의 비교)
하빌리타치온 논문 제목Solutionem tergemini problematis arithmetici, geometrici et astronomici... (산술, 기하학 및 천문학의 삼중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박사 지도 교수페터 베렌펠스(1676년 논문 지도교수)
학문적 조언자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서신 교환)
박사 졸업생야코프 헤르만
니콜라우스 1세 베르누이
주목할 만한 학생요한 베르누이
알려진 업적베르누이 미분 방정식
베르누이 수
베르누이 공식
베르누이 다항식
베르누이 사상
베르누이 시행
베르누이 과정
베르누이 분포
베르누이 확률 변수
베르누이의 큰 수의 정리
베르누이 부등식
베르누이 렘니스케이트
기타요한 베르누이의 형

2. 생애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뜻에 따라 신학을 공부했지만, 수학천문학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했다. 1676년 로버트 보일과 로버트 후크를 만난 후 과학과 수학 연구에 평생을 바치게 되었다.[4] 1676년부터 1682년까지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요하네스 후드, 로버트 보일, 로버트 후크 등 당대의 주요 과학자들에게서 수학과 과학의 최신 지식을 습득했다.

'''학술잡지'''(Acta Eruditorum)(1682)에 게재된 베르누이의 ''Conamen novi systematis cometarum'' 비판 이미지


1682년부터 바젤 대학교에서 역학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1687년에는 같은 대학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 1684년 유디트 스투파누스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와 교류하며 미적분을 배웠고, 동생인 요한 베르누이와 함께 미적분학을 연구하며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에렌프라이드 발터 폰 치르하우스의 출판물 또한 연구 대상이었다. 라이프니츠의 미적분 관련 출판물은 당시 수학자들에게 매우 불분명했는데, 베르누이 형제는 라이프니츠의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려 노력한 최초의 인물들 중 하나였다. 야코프는 미적분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동생과 협력했지만, 동생 요한의 수학적 능력이 성숙해지면서 둘 사이는 경쟁 관계로 변했고, 서로의 실력을 시험하기 위한 어려운 수학적 문제들을 제기했다.[7] 결국 1697년에 둘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다.

로그 나선에 매료되어 자신의 묘비에 새겨지기를 원했으나, 실제로는 아르키메데스 나선이 새겨졌다.[11] 그는 자신의 묘비에 “Eadem mutata resurgo”(비록 변했지만, 나는 다시 원래대로 일어선다)라는 문구를 새기길 원했다.

3. 주요 업적

야코프 베르누이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와 교류하며 미적분을 배웠고, 동생 요한 베르누이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라이프니츠의 미적분학을 이해하고 적용한 최초의 수학자 중 한 명으로, 변분법의 기초를 확립했다.[7]

1690년 등시곡선 문제를 해결하면서 미분방정식을 이용하고, '적분'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8] 1696년에는 베르누이 미분 방정식을 풀었다.[8]

무한급수의 수렴 및 발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sum{\frac{1}{n^2}}이 유한한 값으로 수렴함을 보였다. 이 급수의 극한값은 오일러가 나중에 증명했다.[8] 복리 문제 연구를 통해 수학 상수 e를 발견했다.(1683)[9][10]

현수선, 탄성 곡선 문제를 해결했으며, 사후 출판된 저서 《추측술》(Ars Conjectandi, 1713)에서 베르누이 시행, 베르누이 수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큰 수의 법칙을 증명하여 확률론의 기초를 다졌다.[1] 또한, 《추측술》에서 조합론의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도개교 문제 연구를 통해 도개교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곡선을 찾는 문제도 연구했다.

3. 1. 추측술 (Ars Conjectandi)

《추측술(Ars Conjectandi)》(1713)은 야코프 베르누이의 확률론에 대한 업적이다.[1] 이 책에서 베르누이 시행베르누이 수가 그의 공적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1] 오늘날 경우의 수확률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18세기 초만 하더라도 그렇지 않았다. 이 둘을 이어준 책이 바로 《추측술》이다.[2] 대한민국에서는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사에서 2013년에 번역 출간되었다. (ISBN 978-89-6680-419-1)[2]

참조

[1] LPD
[2] 서적 Duden —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ag 1990
[3] 웹사이트 Jacob (Jacques) Bernoulli http://www-gap.dcs.s[...]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4] 웹사이트 Bernoulli, Jacob http://www.hls-dhs-d[...] Historisches Lexikon der Schweiz 2016-05-20
[5] 서적 Jan Hendrik Oort: Master of the Galactic Syste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6] 서적 Die Werke von Jakob Bernoulli: Bd. 2: Elementarmathematik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
[7] 웹사이트 Jacob Bernoulli http://www.jehps.net[...] Journal Électronique d'Histoire des Probabilités et de la Statistique 2016-05-20
[8] 서적 A Source Book In Mathematics, 1200-1800 1986
[9] 문서 Quæstiones nonnullæ de usuris, cum solutione problematis de sorte alearum, propositi in Ephem. Gall. A. 1685 https://books.google[...] 1690
[10] 웹사이트 The number e http://www-history.m[...] St Andrews University 2016-11-02
[11] 서적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https://books.google[...] Broadway Books 2003
[12] 웹사이트 Jakob Bernoulli Swiss mathematician https://www.britanni[...]
[13] 뉴스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 http://dl.dongascien[...] 동아사이언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